카테고리 없음

러시아에서의 교육제도와 대학교의 다양한 평가 체계

줴횬 2021. 9. 16. 10:30

러시아에서의 교육제도

예전에 잠깐 러시아에서의 교육제도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 교육의 일부에 대해서만 다뤘었고 러시아의 체계적인 교육제도를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러시아의 교육제도에 대해서 좀 더 보충해서 말해보려고 합니다. 이 포스팅을 본 이후에는 러시아의 교육제도에 대해서 완벽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러시아에서는 빠르면 생후 2개월에서부터 7살까지는 유아원이나 유치원에서 다니고 고등 교육 이전의 학교인 쉬 꼴라에서는 전체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에도 초등학교, 중학교 과정, 고학년 과정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다만 한국은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중학교에 새로 진학하고 중학교를 졸업하면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래 단계의 학교를 졸업하면 학교를 옮겨야 하지만 러시아는 초, 중, 고 과정을 한 학교에서 모두 이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초등학교 때 만난 동기들이 졸업할 때까지 계속 같이 만나고 공부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러시아의 교육제도는 크게 11학년제의 초, 중등 교육과정과 대학 및 대학원을 포함한 고등과정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특이한 것은 러시아의 초. 중학교는 한국과는 다르게 학교가 아닌 학년으로 구분됩니다. 그래서 클래스라는 단어는 수업이 아니라 학급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이한 것은 러시아에서는 학교의 교명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번호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자면 이 학교가 니즈니 노브고로드에 있어도 니즈니 노브고로드 학교라고 말하지 않고 151 학교라고 부른다는 점입니다. 또한 초. 중등학교에서는 학기라는 뜻으로 семестр라고 말하지 않고 учебный год라고 말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학교에서는 семестр를 사용합니다. 러시아의 학교 수업은 보통은 8시 30분에 시작하고 45분 정도 수업을 하고 10분 정도의 휴식시간을 가집니다. 그러다 중간에 20분 정도 쉬는 긴 휴식 시간이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모두가 각자 가지고 온 간식들을 먹으면서 쉴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학교 수업은 보통은 2시 전후에 끝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성적은 한국의 평가 체계와는 조금 다릅니다. 먼저 최저점인 1점부터 2점, 3점, 4점, 5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러한 러시아의 초 중등 교육제도는 1958년부터 시행되기 시작했으며 1970년에는 의무교육 과정으로 법이 제정되었습니다. 그리고 보통 쉬콜라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9학년을 마치고 난 뒤에는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 갈림길에 서게 되는데 계속해서 학업을 지속하고 싶은 학생은 11학년까지 계속 학교에 다니고 자신이 학업에 관심이 없고 기술 직업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기술전문학교에 진학한다는 점입니다.

 

 

러시아 대학교의 다양한 평가 체계

이곳에서는 러시아 대학교 교육제도와 평가 체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러시아의 대학은 종합대학교와 대학을 크게 나뉩니다. 하지만 이 기준에 따라서 대학의 규모와 수준이 정비례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종합대학교에서는 여러 학부가 있으며 학부에는 또 여러 학과가 있습니다. 신기한 것은 한국과는 다르게 러시아에서 의예과는 종합대학교에 속하지는 않고 독립적으로 대학이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쉬콜라에서 11학년을 마친 학생들은 매년 7월쯤에는 대학 진학시험을 봅니다. 보통 러시아에서는 각 대학별로 입학시험을 치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요즘은 우리나라의 대입 수능시험처럼 모든 학생들이 시험(ЕГЭ)을 보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정보를 찾아보니 소련 시절에는 대학과정이 5년제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보통의 나라들처럼 1996년부터는 학사 4년 석사 2년 제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러시아의 대학 교육은 무조건 무상 교육이었지만 정부의 재정지원이 점차 감소하게 되어서 학교 운영비를 감당하지 못한 학교들이 유상교육으로 전환하면서 지금은 학생들은 등록금을 지불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만약 러시아 학생들이 의과대학처럼 인기 있는 대학교에 재학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매우 큰 수업료 부담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보통 대학교의 점수는 초. 중등학교 과정처럼 최하점 1점부터 최고점 5점까지 부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성적표에는 한국처럼 아라비아 숫자를 표기하는 것이 아닌 못함, 불만족, 만족, 잘함, 매우 잘함으로 표기됩니다. 그리고 졸업식에는 졸업장을 받게 되는데 졸업장을 보면 그 사람의 학업 성취도를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대학 졸업장의 색깔은 파란색이지만 만약에 성적이 매우 우수한 학생은 붉은색 졸업장을 받습니다. 이 붉은색 졸업장을 받기 위해서는 졸업시험과 전 학년 과목에서 75% 이상이 5점 이상이어야 하고 나머지는 4점이어야 한다고 하니  붉은색 졸업장 받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짐작이 되는 부분입니다.